
BRAND STORY
1980년대 홍콩, 영국식 티하우스를 운영하던 한 할머니는 거리의 예술가들을 몰래 후원하던 숨은 반항가였다. 하지만 화려한 티세트와 격식의 공기 속에서, 그녀도 조금씩 허영에 물들어가고 있었다. 결국 거울 앞에서 칼로 햄버거를 썰어 먹는 자신의 모습에 극도의 환멸을 느꼈다. 그날 이후 그녀는 티팟을 내려놓고 티하우스를 닫은 뒤, 거리의 자유와 예술을 담은 새로운 공간을 열었다. 그 결과 태어난 것이 룡룡버거하우스다. 이곳은 클래식한 티하우스의 흔적과 홍콩 스트리트의 즉흥성을 결합해 만든 빈티지 스트릿 스타일 속에서, 마라치즈버거와 아이코닉한 ‘뻑킹그랜마’ 캐릭터로 자유·반항·유머를 전한다. 룡룡버거하우스는 단순한 식당이 아니라, 버거라는 가장 솔직한 음식으로 힙한 문화를 퍼뜨리는 브랜드다.
In 1980s Hong Kong, a teahouse madam known as Fuxxing Grandma grew tired of vanity and chose rebellion. She closed the teahouse and built RyongRyong Burgerhouse, blending vintage charm with street energy. With its Mara Cheese Burger and iconic grandma character, the brand spreads freedom, humor, and hip street culture through the most honest food — the burger.

IDEA
룡룡버거하우스는 획일화된 아메리칸 버거 문화에 균열을 내며, 본래 버거가 지녔던 스트릿 정신을 복원한다. 손으로 들고 자유롭게 베어 무는 원초적 태도, 기존 질서를 깨부수는 반항적 태도를 디자인 언어로 재해석해 ‘차이니즈 버거하우스’라는 새로운 장르를 창조했다. 이는 단순한 메뉴 출시가 아니라, 음식이라는 매개를 통해 문화적 전복을 시도하는 디자인 프로젝트다. 즉 버거는 여기서 음식이 아닌, 자유·반항·예술의 퍼포먼스로 새롭게 정의된다
Ryongryong Burgerhouse breaks from uniform American burger culture, restoring the street spirit burgers once held. The raw act of eating with hands and the rebellious attitude against order are reimagined through design, creating a new genre: the Chinese Burgerhouse. This is not just about food, but a cultural subversion where the burger is redefined as a performance of freedom, rebellion, and art.

LOGO
룡룡버거하우스 로고는 ‘龍龍’과 영문을 혼용해 홍콩 네온 간판을 연상시키며, 레드·블랙 톤과 볼드한 서체로 자유와 반항의 빈티지 스트릿 감성을 드러낸다.
The Ryongryong Burgerhouse logo combines the Chinese characters ‘龍龍’ with English, evoking Hong Kong neon signs. Using bold typography in red and black tones, it expresses a vintage street spirit of freedom and rebellion.


FONT & COLOR
룡룡버거하우스 로고는 빨강·검정·흰색·회색의 느와르 팔레트에 포인트 레드를 더해 강렬한 대비를 만든다. 서체는 볼드한 산세리프와 스트릿 감각의 한자 서체를 결합해, 빈티지와 자유가 공존하는 브랜드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The Ryongryong Burgerhouse logo uses a noir palette of red, black, white, and gray, with a striking point of red to create bold contrast. The typography combines a bold sans-serif with street-inspired Chinese characters, visually expressing a brand identity where vintage and freedom coexist.

MENU
룡룡버거하우스는 마라버거와 마라치즈버거를 필두로 메뉴를 전개한다. 메뉴판은 가장 직관적인 세로형 배치로 구성되어, 소비자가 위에서 아래로 자연스럽게 흐름을 따라가며 메뉴를 선택하고 주문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모든 버거는 매운맛 5단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어, 각자의 취향과 도전 의지에 맞는 경험을 즐길 수 있다.
Ryongryong Burgerhouse leads with the Mara Burger and Mara Cheese Burger. Its vertically arranged menu guides customers naturally from top to bottom, while five levels of spiciness let each diner choose an experience that fits their taste and spirit of challenge.

FORM
브랜드의 형태는 영국식 티하우스의 격식과 홍콩 스트리트의 혼돈을 병치함으로써 완성된다. 공간은 목재 가구와 티세트 같은 고전적 오브제를 간직하면서, 그 위로 네온사인·그래피티·레트로 포스터를 덧입혀 긴장을 형성한다. 클래식과 스트리트가 교차하는 이 충돌적 미장센은 간판, 포스터, 패키지 전반에 반복되며 하나의 디자인 언어로 확장된다. 결과적으로 룡룡버거하우스는 단순한 매장이 아니라, 아이러니와 유머가 공존하는 시각적 실험장으로 자리매김한다.
The form of Ryongryong Burgerhouse emerges from the clash of British teahouse formality and Hong Kong street chaos. Classic wooden furniture and tea sets are overlaid with neon signs, graffiti, and retro posters, creating tension that extends across signage, posters, and packaging as a unified design language. The result is not just a restaurant, but a visual playground where irony and humor coexist.

FACADE
클래식한 느낌의 파사드와 강렬하고 스트릿한 간판 로고, 그리고 아이코닉한 ‘뻑킹그랜마’가 크게 자리한 입간판은 지나가는 이들의 시선을 단번에 사로잡으며, 성수 거리 속에서 하나의 랜드마크로 자리잡기에 충분하다.
With its classic façade, bold street-style logo, and a large sign featuring the iconic Fuxxing Grandma, Ryongryong Burgerhouse instantly captures attention and stands as a landmark in the streets of Seongsu.


SICHUAN PEPPER BAG
매장 곳곳에 쌓인 화자오 포대는 단순한 장식물이 아니라, 과거 티하우스 시절 화자오 티를 판매하던 시대상을 대변한다. 이 오브제는 브랜드가 지닌 뿌리를 시각적으로 환기시키며, 지금의 마라버거로 이어지는 역사적 연결고리를 만들어준다.
The sacks of Sichuan pepper stacked throughout the store are more than decoration; they recall the teahouse era when pepper tea was sold. These objects visually evoke the brand’s roots and create a historical link that connects directly to today’s Mara Burgers.


TIN CANISTERS
매장에 남아있는 티케이스는 과거 티하우스의 잔재이지만, 이제는 힙한 오브제로 전환되어 공간의 개성을 강화한다. 전통의 흔적이 스트릿 감각과 만나며, 브랜드 서사 속에서 과거와 현재를 잇는 상징적 장치로 기능한다.
The tea canisters left in the store are remnants of its teahouse past, now transformed into hip objects that amplify the space’s character. Where traces of tradition meet street sensibility, they serve as symbolic devices linking past and present within the brand’s narrative.

TEA CUPS
티 컵 위의 굵은 낙서는 단순한 장식이 아니다. 그것은 거리의 자유로운 예술가들이 남긴 흔적처럼, 억눌린 격식을 거부하고 반항을 드러낸다.
The bold scribbles on the teacups are not mere decoration; like traces left by free-spirited street artists, they reject rigid formality and embody a spirit of rebellion.

POSTERS
포스터야말로 룡룡버거하우스를 대표하는 핵심 시각물이다. 홍콩 특유의 거친 반항 정신을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내며, 흑백 실사진을 바탕으로 그 위에 붉은 낙서와 볼드한 서체를 겹쳐 디자인되었다. 이 강렬한 대비는 브랜드가 추구하는 스트릿 감성을 공간 전체에 퍼뜨린다.
Posters are the key visual elements that represent Ryongryong Burgerhouse. They vividly express Hong Kong’s raw spirit of rebellion, layering bold red graffiti and typography over black-and-white photography. This striking contrast spreads the brand’s street sensibility throughout the entire space.


NEWSPAPER
신문이라는 매체는 클래식한 형식을 지녔지만, 그 안에는 버거 자유 선언문, 버거하우스의 기원, 뻑킹그랜마의 서사 등 브랜드를 대표하는 이야기들이 가득 담겨 있다. 전통적 매체 속에 반항적이고 힙한 서사를 채워 넣음으로써, 신문은 룡룡버거하우스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매체로 기능한다.
The newspaper may carry a classic format, but inside it holds the Burger Freedom Manifesto, the origin of the Burgerhouse, and the story of Fuxxing Grandma. By filling a traditional medium with rebellious, hip narratives, the newspaper becomes the medium that best conveys the essence of Ryongryong Burgerhouse.